엔저현상이 장기화되면 단기적으로는 수출기업에게 유리할 수 있지만, 전체 경제로 보면 여러 가지 균형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특히 환율이 과하게 왜곡되는 상황이 이어지면 결국 대응해야 할 주체는 정부와 중앙은행이 됩니다. 일본의 엔화 가치가 지나치게 낮게 유지되는 상황이 계속될 때, 한국처럼 일본과 산업구조가 겹치는 나라에서는 수출 경쟁력이 약해지고, 반대로 수입 물가에 긍정적인 영향이 생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불균형이 오래 가면 결국 국내 통화정책이나 외환시장에 부담이 생깁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대응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치는 외환시장 개입입니다. 물론 이건 아주 신중하게 써야 하는 카드고, 국제사회의 눈치도 봐야 하니까 무조건적인 개입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인 쏠림 현상이나 투기적인 움직임이 있을 경우엔 시장 안정 차원에서 개입이 필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쏠림 경계 발언’을 내놓거나, 스무딩 오퍼레이션을 통해 직접적인 개입 없이도 기대심리를 조절하려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거시경제 측면에서는 금리 차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합니다. 미국, 일본, 한국의 금리 차가 벌어지면 자금이동이 발생하고, 이게 다시 환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일본이 금리를 낮게 유지하면서도 한국이 고금리를 지속한다면, 상대적으로 원화가치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금리라는 한 가지 요소만 놓고 봤을 때고,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나 투자 심리에 따라 환율은 언제든 흔들릴 수 있습니다
무역 구조 조정도 중장기 대응 중 하나입니다. 일본과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품목에 너무 의존하지 않고, 새로운 수출 시장이나 프리미엄 산업군을 키워야 환율 변화에 휘둘리지 않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환율 안정 대응은 단순히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걸 넘어서, 구조적이고 전략적인 산업 변화와도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엔저 장기화에 따른 환율 안정 대응은 단기적으로는 시장 개입과 기대심리 조절, 중기적으로는 금리 및 자금 유출입 관리, 장기적으로는 산업구조 변화와 대외무역 다변화 전략까지 아우르는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어느 것 하나만으로 해결되긴 어렵기 때문에, 정책과 외교, 시장 대응이 동시에 굴러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