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의 생활 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제도 중 하나가 바로 기초연금입니다. 만 65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나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셨을 텐데요. 실제로 기초연금은 소득과 재산에 따라 수령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단순히 나이만 채웠다고 해서 모두 같은 금액을 받는 건 아닙니다. 오늘은 기초연금 수령액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그리고 조금이라도 더 받기 위해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기초연금은 기본적으로 만 65세 이상이면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국내에 거주하는 어르신 가운데, 일정 소득과 재산 기준 이하인 분들에게 지급됩니다. 여기서 가장 핵심이 되는 건 ‘소득인정액’이라는 개념이에요. 이 소득인정액은 실제 소득뿐 아니라 보유한 재산을 일정 비율로 환산한 금액까지 포함해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월소득은 적지만 부동산이나 금융재산이 많으면 소득인정액이 높게 나올 수 있고, 반대로 재산이 거의 없으면 소득이 조금 있더라도 낮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단독가구는 월 소득인정액이 218만 원 이하, 부부가구는 349만6천 원 이하일 경우 기초연금 대상자로 분류됩니다.
기초연금의 최대 수령액은 단독가구 기준 월 40만1천 원, 부부가구는 각 32만1천 원입니다. 하지만 이 금액은 전액을 받는 경우고, 대부분의 경우 소득 수준에 따라 감액되는 구조입니다. 특히 공적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을 받고 있다면 그만큼 기초연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조금이라도 더 받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을 신경 써야 할까요?
첫째, 재산 정리가 중요합니다. 실제 거주하지 않는 부동산이 있다면 정리하거나 증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단순히 연금 수급을 위해 무리한 재산 정리는 권장되지 않지만, 계획적인 자산 이동은 충분히 의미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둘째, 소득 인정에 포함되는 금융재산은 2천만 원까지는 기본 공제가 적용되므로, 이를 고려한 금융자산 운용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금융재산이 2천만 원 이하라면 소득인정액 계산 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많은 자금이 통장에 묶여 있지 않도록 관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꼭 사전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이나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소득인정액 산정과 연금 수령 가능성에 대해 1:1 상담을 받을 수 있는데요. 실제로 상담을 통해 예상보다 더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신청 자체를 미루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 65세 생일이 도래하는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이 가능한데, 신청 시점이 늦어지면 그만큼 못 받은 금액을 소급해서 받을 수는 없기 때문에, 제때 신청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혜택을 챙기는 길입니다.
기초연금은 단순한 현금 지원을 넘어, 노후의 기본적인 삶을 보장하는 든든한 제도입니다. 본인이나 가족이 대상이 되는지 꼭 한 번 확인해보시고, 자산과 소득 상황에 맞춰 꼼꼼히 준비하셔서 조금이라도 더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